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Tags
- O(1)
- 프로그래밍
- CSS
- 시간 복잡도
- 웹 기초
- 한방향 연결 리스트
- 수파자
- 파이썬
- 한국대학생IT경영학회
- 대외활동
- 연결 리스트
- HTML
- 선형 자료 구조
- 리스트
- 큐
- FIFO
- 동적 배열
- 양방향 연결 리스트
- 스택
- 자료구조
- 서포터즈
- 모각코
- IT
- 대학생
- 코뮤니티
- 코딩좀알려주라
- 코딩
- LIFO
- 한국외대
- 알고리즘
Archives
- Today
- Total
목록배열 기반 시컨스 (1)
대학생 쩡딱구리
2-1. 배열
1. 배열이란? 2020년 수능 시험에 548,734명이 지원했다고 한다. 이런 상황에서 54만명의 성적을 처리하려면 데이터를 어떻게 관리하는 것이 좋을까? 학생 개개인마다 변수를 선언해 자료를 관리하는 것은 불편할 것이다.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는 자료구조 중 배열이 있다. 배열이란 동일한 타입의 데이터를 연속된 메모리 공간에 저장하여 하나의 변수로 표현하는 자료 구조를 말한다. 그렇다면 배열이 갖는 장점은 무엇일까? 배열은 각 요소의 길이가 같기 때문에 어떤 요소라도 바로 접근할 수 있다. 예를 들어, 배열에서 index i의 주소 = [배열의 시작 주소] + [요소의 크기] * i로, O(1)의 시간 복잡도를 가질 것이다. 또한, 배열에선 data[4]와 같은 추상화된 형태로 각 요소를 접근하게 만듦..
STUDIES/DATA STRUCTURE
2020. 10. 14. 20:27