목록FIFO (4)
대학생 쩡딱구리
4-4. 양방향 연결 리스트 한방향 연결 리스트는 연결 구조가 비대칭이라 임의의 노드의 삭제가 아주 비효율적이다. 즉, 아래의 단점을 갖는다. 해당 노드의 레퍼런스를 알아도 삭제에 O(n)의 시간 복잡도를 갖는다. 삭제 jjeongttakgoori.tistory.com 3-3 덱 덱 = 스택 + 큐이다! 스택과 큐를 잠깐 복습하고 보는 것을 추천한다. 3-1. 스택 1. 스택이란? 스택(Stack)이란 한 쪽 끝에서만 자료를 넣거나 뺄 수 있는 선형 자료 구조이다. 스택은 LIFO(Last In First O jjeongttakgoori.tistory.com 양방향 연결 리스트로 덱을 구현하면 모든 연산이 O(1) 시간 복잡도를 갖는다. 1. LinkedDeque 클래스 from .doubly_linke..
한방향 연결 리스트 내용 참고! 4-1. 한방향 연결 리스트 그동안 동적 배열과 동적 배열을 기반으로 한 자료구조를 다루었다. 하지만 동적 배열엔 아래와 같은 단점이 있다. 동적 배열의 길이가 저장하는 요소의 수보다 길다. 즉 메모리 낭비가 있다. � jjeongttakgoori.tistory.com 1. 스택 구현 스택이 뭔지 기억이 안 난다면 이 글을 참고하면 좋을 것 같다. 3-1. 스택 1. 스택이란? 스택(Stack)이란 한 쪽 끝에서만 자료를 넣거나 뺄 수 있는 선형 자료 구조이다. 스택은 LIFO(Last In First Out) 형태의 자료구조로, 가장 최근에 저장된 값 다음에 자료가 저장되고(push), jjeongttakgoori.tistory.com 가장 먼저 들어간 것이 가장 나중에..
덱 = 스택 + 큐이다! 스택과 큐를 잠깐 복습하고 보는 것을 추천한다. 3-1. 스택 1. 스택이란? 스택(Stack)이란 한 쪽 끝에서만 자료를 넣거나 뺄 수 있는 선형 자료 구조이다. 스택은 LIFO(Last In First Out) 형태의 자료구조로, 가장 최근에 저장된 값 다음에 자료가 저장되고(push), � jjeongttakgoori.tistory.com 3-2. 큐 3-1. 스택 1. 스택이란? 스택(Stack)이란 한 쪽 끝에서만 자료를 넣거나 뺄 수 있는 선형 자료 구조이다. 스택은 LIFO(Last In First Out) 형태의 자료구조로, 가장 최근에 저장된 값 다음에 자료가 저장되 jjeongttakgoori.tistory.com 1. 덱 위에서 썼듯 덱은 스택과 큐를 합쳐놓은..
3-1. 스택 1. 스택이란? 스택(Stack)이란 한 쪽 끝에서만 자료를 넣거나 뺄 수 있는 선형 자료 구조이다. 스택은 LIFO(Last In First Out) 형태의 자료구조로, 가장 최근에 저장된 값 다음에 자료가 저장되고(push), � jjeongttakgoori.tistory.com 스택에 대한 내용은 이 게시물에 있다. 1. 큐 가장 나중에 들어간 자료가 가장 먼저 나오는 스택과 달리 큐(Queue)는 FIFO(First In, First Out) 형태 자료 구조로, 가장 먼저 넣은 것이 가장 먼저 나온다. 달리 말하면 큐는 한쪽 끝에서는 자료를 넣고 한 쪽 끝에서 자료를 꺼내는 선형 자료구조를 말한다. 큐에서는 가장 최근에 저장된 값 다음에 자료가 저장되며(Enqueue), 가장 오래 ..